돈되는부동산

임대인 법인일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보증보험 가입하기

richday365 2025. 3. 18. 12:42

몇일 전 주거용 오피스텔 전세 계약을 했는데요,

임대인이 법인입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아니고, 일반임대사업자 아니고, 

순수 소유자가 법인입니다. 예전에는 법인으로 매수하면 장점이 좀 있었는데 지금은... 뭐 없죠..

 

어쨋든, 임대인이 법인이라면 임차인 입장에서는 잘 따져보고 확인한 후 집 계약을 해야합니다.

첫번째로 임대인이 법인인 경우에 전세자금 대출이 나올 수도 있고,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전세 대출이 나오고, 어떤 경우에 안나오는지는 오늘 주제가 아니니

다음에 설명하기로 하고 오늘은 넘어 가겠습니다.

 

오늘 계약하려는 집은 법인 임대인인데 전세 대출이 불가능한 법인이였습니다.

안좋은 조건인데 다행히 새로 이사올 임차인이 전세대출을 받지 않는다고 하여 계약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임차인이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길 희망하여 법인 임대인일 경우에도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지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 조사를 해봤습니다.

 

먼저,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려면, 가입하려는 사람을 대신해 보증을 해주는 보증기관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서울보증(SGI), 주택금융공사(HF)

세 곳이 있습니다.

각 기관별로 하는 일과 보증한도, 보증료 등이 상이하니 각각 찾아 보시면 되겠습니다.

 

제가 알아본 봐로는 임대인이 법인일 경우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곳은

주택도시보증공사 한 곳만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주인(임대인)이 개인이면 준비해야 할 서류도 적고, 네이버나 카카오, 토스 등

핸드폰 어플을 통해 가입이 가능한데, 임대인이 법인인 경우에는 네이버,카카오,토스에서는 할 수 없고

오로지 주택도시보증공사 어플 또는 홈페이지에서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주택도시보증고사 홈페이지를 아무리 찾아봐도 가입할 수 있는 링크가 안나와있어서,

지사로 직접 전화를 걸어 문의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안내를 받았습니다.

안내를 받아 보니 서류만 잘 준비하고, 홈페이지에서 가입하면 금방 됩니다.

연습삼아 해봤는데 그렇게 어려운 부분이 없었습니다.

 

"결 론"

집주인이 개인이 아닌 법인(회사)라고 해서 무조건 거르고 볼 건 아니다.

확실히 전세보증보험이 가입이 된다면 안심하고 전세 계약을 해도 무방하다.

 

- 끝 -

아래 주택도시보증공사로 부터 안내 받은 사항과 임대인이 법인일 경우 전세보증보험 가입가능한

링크 첨부합니다. 꼼꼼히 잘 보시고 따라하셔서 안전하게 전세 거주하시 길 바래요.

 

어플에서 접속하면 친절하게 팝업창으로 아파트/오피스텔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임대인이 법인인 경우 "안심전세 앱"으로만 가능하다고 나옵니다.

 


안녕하십니까?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콜센터에서 안내드립니다.

■임대인이 법인일 경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신청시 구비서류
1. 임차인신분증
2. 확정일자부 전세계약서(전월세 신고한경우 전세계약서+주택임대차 신고필증(주민센터 발급) ※ 계약기간 1년이상 및 공인중개사날인 필수
3. 보증금 지급 확인서류 
=>무통장입금증 or 계좌이체내역 or 공인중개사발급영수증(중개사 날인필수) or 임대인이 확인한 영수증(전세계약서의 임대인 날인과 동일)
4. 부동산등기사항전부증명서(=구. 부동산등기부등본 / 대법원인터넷등기소 발급가능)
5. 주민등록등본(주민센터 OR 민원24사이트 발급가능)
6. 전입세대확인서(전입세대열람내역서)_지번/도로명 모두 必 (신분증+전세계약서지참/주민센터발급가능/임차인 세대만 전입필수)
7. 건축물대장 (아파트제외)
8. 법인 등기부등본
9. 사업자등록증 사본
10. 법인임대인의 사회보험료 완납증명서(임대인 1인 법인일경우 크레탑에 종업원 0명으로 되어있을경우 사회보험료 완납증명서는 생략)
11. 금융기관 전세자금대출 및 담보제공 확인서(공사 양식, 공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12. 확정일자 부여현황 (단독 다중 다가구 주택의 경우) 
13. 상가임대차 현황서(건축물대장상 근린생활시설등 상가가 확인되는 경우)


※필요시 법인인감증명서(경우에 따라 사용인감계 대체 가능)

ㅁ임대인 법인 서류 : 
8,9,10번 항목 서류입니다.

■보증신청일로부터 1개월이내 발급된 서류 제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상품개요 및 구비서류는 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데이터 요금이 과금될 수 있습니다)
-https://www.khug.or.kr/hug/web/ig/dr/igdr000001.jsp

※보증 심사 시 추가 서류가 요구 될 수 있습니다.
-HUG콜센터-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콜센터에서 안내드립니다.

(1)비대면 신청 경로
★(안심전세어플 ) 앱스토어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안심전세HUG' 검색하여 다운로드
★(인터넷보증 PC)
 http://khig.khug.or.kr/main.jsp → 전세보증신청하기 

 - 단, 개인임대인이면서 아파트,오피스텔인 경우 안심전세앱이나 인터넷보증에서 신청불가


-비대면으로 신청시 주소검색이 안될 경우, 대면 신청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2)대면 신청 경로
★ 주택도시보증공사 관할지사(http://m.khug.or.kr/hug/web/ci/kh/cikh000008.jsp)


감사합니다. 
-HUG콜센터-

 

 

이 이미지 누르면 바로 이동합니다.(https://khig.khug.or.kr/main.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