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부동산

주린아 정적vi 동적vi vi발동이 뭔지 아니? 키움증권 HTS

richday365 2025. 3. 28. 17:47

 

키움 HTS

요즘 한참 주식 공부하는 재미에 빠져 이것저것 눌러보며, 매일 매일 손절의 아픔을 뼈저리게

온몸으로 체험하며 눈 녹는 사르르 녹아 내리는 나의 소중한 돈을 보고 있노라니 더 열심히 주식

공부를 해야겠다는 오기와 절박함 그리고 노력의 열정이 뿜어져 나옵니다.

 

키움 HTS에서 매매할 때 보면 정적VI 발동 예상가라고 해서 상승가 / 하락가가 표기되어 있는데요

이건 뭘까요? 주린이 입장에선 상당히 궁금하고 거슬리는 대몫입니다.

또 열심히 호가창을 뚫어지게 보고 있다보면 갑자기 컴퓨터가 다운된거 마냥 호가창이 딱!!

멈춰버려서 이건 뭐지? 한참 알아보니 "VI발동되서 그렇다"는 해답도 찾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본격적으로 VI가 뭔지 공부해 봅니다.

 

일단 키움 HTS 창에서 도움말을 펼쳐보니 이렇게 나옵니다.

 

VI는 변동성 완화장치라는 영어의 약자구나. 그래 영어 공부 시간 아니니 이정도로 넘어가자.

그럼 변동성 완화 장치는 어쩔 때 쓰이는거냐??

궁금해서 네이버에도 물어보았지만 요즘은 무슨 시대입니까? 네~ 바로 AI 시대 아니겠습니까.

 

ChatGPT에 물어봤습니다. 뜨? 뜻!!

 

 

 

주식시장에서 **정적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 장치)**와 동적 VI는 주가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 정적 VI (Static VI)

  • 일정 시간 동안 주가가 기준 가격(기준가) 대비 ±10% (코스피) 또는 ±6% (코스닥)를 초과하여 변동하면 발동됩니다.
  • 발동되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되어 급격한 변동을 완화합니다.

 

🔹 동적 VI (Dynamic VI)

  • 실시간으로 체결 가격이 직전 체결 가격 대비 ±3~6% 이상 변동하면 발동됩니다.
  • 단일가 매매 2분간 적용하여 급등락을 방지합니다.

 

 

➡️ 정적 VI는 기준 가격 대비 변동 시 발동,

➡️ 동적 VI는 직전 체결 가격 대비 변동 시 발동!

쉽게 말해,

정적 VI는 "출발점 대비 변동이 크면 발동"

동적 VI는 "방금 거래된 가격 대비 변동이 크면 발동"

 

📌 목적: 투자자 보호 및 시장 안정성 유지!

궁금한 거 더 있으면 물어봐~ 😊

 

 

아~ 쉽게 말해서 주식 가격이 10%(코스피) 6%(코스닥) 초과 상승하면 또는 초과 하락하면 2분동안은 내가 사고 싶은 금액으로 주문을 넣을 수 있는게 아니고 한대 모아 단일가라는 금액으로 매수 매도 체결을 시켜 주는거구나.

 

왜 그런고 하니 주식 가격이 갑자기 급등(우리가 원하는 건 뭐!?? 급.등) 또는 급락(우리가 원치 않는 건 뭐!?? 급.락)이 나오면 과열이라고 보고 과열을 잠시 식히기 위해 거래를 중단하는겁니다.

얼마나 중단이냐면 정적VI라고 해서 2분간 적용이 됩니다.

주가의 변동이 급작스럽게 움직이면 우리 같은 주린이 심장은 미친듯 바운스 바운스 되고,

머릿속은 하얘지고, 나는 누구인가 누구길래 지금 이렇게 미친 숫자의 변화만 바라보며 멍청이가 되어 있는가..... 정신 차릴 시간을 주는 거죠.

 

이게 정적VI입니다.

 

그럼 동적VI는 뭘까요?

  • 실시간으로 체결 가격이 직전 체결 가격 대비 ±3~6% 이상 변동하면 발동됩니다.
  • 단일가 매매 2분간 적용하여 급등락을 방지합니다.

 

뭐 주식이 1만원에 체결되고 나서 갑자기 10,300원~10,600원 또는 9,700 ~ 9,400원에 거래가 될 경우 2분간 매매가 단일가로 제한된다는 얘기군요.

 

 

2분이라는 시간동안 정신 차리고 매수 매도 전략을 새로 잘 짜셔 주식 투자에 임해야 되겠습니다.

안그랬다간 저같은 주린이는 정신차려 보니 통장이 텅장이 되어 버리는 일이 발생할테니까요.

 

 

                  출처 : Copliot

 

코파일럿 AI한테도 물어 봤는데, 얘는 간단하게 알려주네요.

 

변동성 완화장치

가격이 급등락할 경우 시장의 혼란 방지, 투자자드에게 신중히 거래할 시간 제공.

 

정적VI

주식의 기준 가격(직전 체결 가격 또는 시초가)에서 일정 비율 이성 벗어나는 가격에 도달하면 발동. 일정 시간 주식 거래 중단 되고, 변동성이 안정되면 거래가 재개.

 

동적VI

직전 체결가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이상 가격이 변동할 때 발동. 실시간 가격 급변 상황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단기적 이상 거래를 완화하는 역할.

 

 

코파일럿 보댜 ChatGPT가 조금 더 자세히 알려주는군.

 

 

 

어쨋든 정리하자면,

 

코스피 종목 주가가 10% 상승 또는 하락하면 2분간 단일가 거래만 가능.

코스닥 종목 주가가 6% 상승 또는 하락하면 2분간 단일가 거래만 가능.

 

잠시 쉬면서 머리도 식히고 전략도 다시 짜자. 뭐 그런 릭렉스 타임제공.

-끝-

 

오늘은 주린이 내일은 주른이.

 

 

#주린이 #VI #정적VI #동적VI #VI발동 #VI발동시간